안녕하세요 투바투바입니다. 오늘의 고사성어는 ‘구밀복검(口蜜腹劍)’입니다.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뜻과 유래를 알아보고 용례를 통해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함께 생각해 봅시다.
오늘의 이야기
출전: 자치통감에서 나온 말이며, 당현종의 고사에서 유래 |
현종은 치세 초기에는 측천무후 이후 어지러워진 정세를 바로잡아 당나라를 안정시키는 데 성공하는 등, 여러모로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정치에 염증을 느끼고, 사랑하는 처까지 잃은 터라 우울증이 매우 심해졌는데 양귀비라는 미인을 만나게 되면서 정사를 돌보지 않고 주색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이때 이임보라는 웬만한 간신들하고는 클래스부터가 다른 희대의 간신이 있었는데, 환관에게 뇌물을 바치고 양귀비에게 들러붙어 현종의 환심을 산 뒤, 재상의 자리에 오른 자로 왕의 곁에서 비위만을 맞추면서 충신들이 올리는 간언 등은 모조리 왕의 귀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있었다. 그가 밤이 깊도록 그의 서재인 언월당 안에 들어앉아 있으면 그다음 날에는 반드시 누군가가 죄를 뒤집어쓰고 죽거나 옥에 갇히곤 했으므로, 황태자를 비롯한 조정의 모든 사람들이 그를 두려워했다. 안록산 역시 이임보의 술수를 두려워해 감히 반란을 일으키지 못했다.
훗날 고사에서 이임보에 대하여 이르기를,
현명한 사람을 미워하고 능력있는 사람을 질투하며, 자기보다 나은 사람을 배척하고 억누르고, 성격이 음험한 사람이다. 사람들이 그를 보고 '입에는 꿀이 있고 배에는 칼이 있다'라고 말했다.
물론 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 양국충에 의해 관직을 박탈당하고 부관참시의 형을 받았으며, 자손들도 모두 유배되는 형벌을 받았다. 하지만 그가 권력을 위해 벌여놓은 짓 때문에 당나라는 안사의 난으로 크게 흔들리고 만다.
하라구로(はらぐろ [腹黒])를 사자성어로 표현한 단어이기도 하다. 겉으로는 호의적이어도 속으로는 불순한 목적을 품고있을 경우에도 여기 해당하며, 일상에서도 이렇게 속으로는 불순한 목적을 품은 경우는 많다. 이 말은 보통 미소와 친절한 말로 상대를 속이려는 의도를 가진 행동을 묘사할 때 사용된다
고사성어 살펴보기
훈음 | |||
口 | 蜜 | 腹 | 劍 |
입 구 | 꿀 밀 | 배 복 | 칼 검 |
겉뜻: 입에는 꿀을 담고 배에는 칼을 지니고 있다
속뜻: 겉으로는 친절하게 대해 주지만, 속으로는 해칠 뜻을 품거나 뒤에 가서 헐뜯는 것.
용례 알아보기
- 그는 동료에게 구밀복검으로 다가가서, 그들의 약점을 발견하고 악의적으로 이용했습니다.
- 그 여자는 미소와 착한 말로 사람들을 속였지만, 실제로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나쁜 얘기를 자주 했습니다.
- 그들은 친절한 행동과 구밀복검으로 경쟁자들을 속여 비즈니스 경쟁에서 이기려고 했습니다.
- 그 공학자는 동료에게 친절하게 보였지만, 실제로는 다른 팀의 프로젝트를 해치려는 의도가 있었습니다.
맺음말
여기까지 고사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친절하게 다가오는 사람일지라도 그들의 의도를 신중하게 살펴보는 습관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물론 지나치면 안되겠죠.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고사성어에 대해 같이 공부해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고사성어 소개해드릴게요. 그럼 다음에 만나요.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상유취 口尙乳臭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0) | 2023.10.21 |
---|---|
구사일생 九死一生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0) | 2023.10.21 |
교자채신 敎子採薪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0) | 2023.10.21 |
교언영색 巧言令色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0) | 2023.10.21 |
괄목상대 刮目相對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0)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