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형난제뜻

난형난제 難兄難弟 뜻 유래 용례, 누가 형이고 누가 동생인가 오늘의 고사성어는 ‘난형난제(難兄難弟)’입니다. 뜻을 알아보고 유래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자세히 알아봅시다오늘의 이야기출전: 세설신어 중국 한나라 원방의 아들 장문과 그의 사촌 효선(원방의 동생인 계방의 자식)이 서로 자신의 아버지의 공덕이 더 훌륭하다고 논쟁을 벌였습니다. 이야기의 결말이 나지 않자 할아버지인 진식에게 가서 이에 대한 답을 내려달라고 했습니다. 이에 할아버지 진식은 “원방도 형 되기가 어렵고, 계방도 동생되기가 어렵다.(元方難爲兄 季方難爲弟)“ 라고 대답한 데서 유래한 고사성어입니다. 결국 난제우난형으로 양자 중에 어느 쪽이 낫다라고 꼬집어 말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용호상박과도 유사한 의미로, 다른 뉘앙스로는 형 노릇 하기도 힘들고 동생 노릇 하기도 힘들다는 .. 더보기
난형난제 難兄難弟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안녕하세요 투바투바입니다. 오늘의 고사성어는 ‘난형난제(難兄難弟)’입니다.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뜻과 유래를 알아보고 용례를 통해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함께 생각해 봅시다. 오늘의 이야기 출전: 《세설신어(世說新語)》 중국 한나라(후한) 원방(元方)의 아들 장문(長文)과 그의 사촌, 즉 원방의 동생 계방(季方)의 아들 효선(孝先)[4]이, 서로 자기 아버지의 공덕이 더 훌륭하다고 주장하다가 결말이 나지 않아서 할아버지인 진식에게 가서, 이에 대한 판정을 내려주실 것을 호소했다. 그러자 진식은 "원방도 형 되기가 어렵고 계방도 동생 되기가 어렵다(元方難爲兄 季方難爲弟)"라고 대답했다고 한 데서 유래한 고사성어다. 세설신어 1장: 덕행(德行) 6~8절 현대 중국어에서는 위의 본 의미보다는 '비슷한 어려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