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투바투바입니다. 오늘의 고사성어는 ‘각주구검(刻舟求劍)’입니다.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뜻과 유래를 알아보고 용례를 통해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함께 생각해 봅시다.
오늘의 이야기
출전: 〈여씨춘추〉 신대람(愼大覽) 찰금편(察今篇) |
초나라 사람 중에 강을 건너는 사람이 있었는데 칼이 배에서 물에 빠지자 갑자기 배에 칼자국을 새기고 말했다. "이곳은 내 칼이 빠진 곳이다." 배가 멈추자 그 칼자국이 새겨진 곳을 따라 물에 들어가 칼을 구하려고 했다. 배는 이미 떠났지만 칼은 떠나지 않았으니 칼을 구함이 이와 같으면 또한 미혹된 것이 아니겠는가? (초나라가) 이러한 옛 법으로 나라를 다스림이 이와 같은데 시대는 이미 달라졌으나 법은 달라지지 않았으니 이로써 (나라를) 다스린다면 어찌 어렵지 않겠는가?
옛날 초나라 사람이 배를 타고 강을 건너다가 그만 칼을 떨어뜨렸는데, 이 사람이 칼을 찾는다면서 칼을 빠뜨린 지점에 닿는 배의 부분에 표시를 해두었다. 배가 도착한 뒤에 이 사람은 표시를 해둔 배의 부분 밑의 물 속으로 뛰어들어 칼을 찾으려 했지만, 이미 배가 움직였으므로 뛰어든 곳에는 칼이 있을 리가 없었다.
흔히 융통성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거나 시대가 변했는데도 오로지 옛날 것만 고집하는 사람을 빗대어 쓰이기도 한다. '수주대토'와 속뜻이 비슷하다. 배는 시대의 흐름을, 검은 제도를 상징하여 시대는 변하는데 제도 또는 법은 흐름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시대착오적' 문서로.
고사성어 살펴보기
훈음 | |||
刻 | 舟 | 求 | 劍 |
새길 각 | 배 주 | 구할 구 | 칼 검 |
겉뜻: 배에 흠집을 새겨 칼을 구한다.
속뜻: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용례 알아보기
그는 변화를 거부하고 각주구검에 빠진 채, 시대에 뒤처지고 있습니다.
조직 내에서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한데, 그는 각주구검 으로 인해 진보를 막고 있습니다.
혁신을 도모하는데 있어 각주구검 은 발전의 장애물이 될 수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는 각주구검 은 기업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리더십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환영하고 각주구검 을 극복하는 것에 달려 있습니다.
맺음말
여기까지 고사성어 '각주구검(刻舟求劍)'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교훈교훈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고사성어에 대해 같이 공부해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고사성어 소개해드릴게요. 그럼 다음에 만나요.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자무치 角者無齒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0) | 2023.10.19 |
---|---|
강노지말 強弩之末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1) | 2023.10.19 |
각자도생 各自圖生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27) | 2023.10.19 |
각양각색 各樣各色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33) | 2023.10.19 |
각골난망 刻骨難忘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33) | 2023.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