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투바투바입니다. 오늘의 고사성어는 ‘ 결초보은(結草報恩) ’입니다.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뜻과 유래를 알아보고 용례를 통해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함께 생각해 봅시다.
오늘의 이야기
출전: 《춘추좌씨전》에 전하는 고사성어. 선공 15년의 경문(經文) 기록에 붙은 주석[傳]에 나온다. |
춘추시대 진(晉) 나라의 대신이었던 위주(魏犨)는 젊은 후처(첩이라는 판본도 있다.)를 얻었는데, 병이 들자 아들 위과(魏顆)에게 후처를 친정으로 돌려보내 개가(재혼)시키라고 유언했다가 병세가 중해져 정신이 오락가락해지자 말을 바꿔 후처를 순장시키라는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위과는 아버지의 상반된 유언 중에 무엇을 따를지 고민했는데, 차남 위기는 순장하자는 유언을 따르자고 했으나 결국 위과는 아버지가 정신이 온전했을 때 남긴 유언을 따르기로 하여 서모를 순장시키지 않고 친정으로 돌려보내 개가 시켰다.
후에 위과는 전쟁터에 나가 진(秦)나라 군대와 싸우게 되었는데, 적장 두회(杜回)가 워낙 용맹하고 무시무시해서 진(晉)나라 군사들이 감히 맞서지를 못했다. 전황이 진(晉)군에게 불리하게 돌아가면서 퇴각할 상황에 처했으나, 두회가 탄 말이 갑자기 그만 고꾸라지는 바람에 위과는 낙마한 두회를 손쉽게 사로잡아 큰 공을 세우게 되었다. 그런데 위과가 두회가 고꾸라진 자리를 자세히 살펴본즉 풀들이 매듭지어져 있는 것이었다.
그날 밤에 잠이 든 위과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났는데 그는 서모의 친정아버지였다. 서모의 친정아버지는 위과에게 본인의 딸을 순장하지 않고 살려서 친정으로 돌려보낸 뒤 개가를 도와준 것을 감사히 여겨 그 은혜를 갚기 위해 풀을 엮어 두회를 사로잡게 했다고 밝힌다.
흔히 깊은 은혜를 잊지 않고 죽어서라도 갚는다는 의미로 쓰인다. 비슷한 말로는 백골난망, 각골난망 등이 있고, 정반대의 의미로는 배은망덕이 있다.
고사성어 살펴보기
훈음 | |||
結 | 草 | 報 | 恩 |
맺을 결 | 풀 초 | 갚을 보 | 은혜 은 |
겉뜻: 풀을 묶어 은혜를 갚다
속뜻: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 뜻
용례 알아보기
1. 그 친구는 어려운 시기에 나를 도와준 것을 결초보은 하며 삶의 어떤 순간에도 그 은혜를 갚으려고 노력합니다.
2. 어릴 때 선생님이 가르쳐 주신 지식은 내게 큰 은혜였고, 나는 결초보은으로 학문에 기여하려고 합니다.
3. 회사의 창립 멤버들은 협력하며 회사를 성공시킨 은혜를 결초보은 하기 위해 사회에 기부를 하고 있습니다.
맺음말
여기까지 고사성어 ' 결초보은(結草報恩) '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결초보은 하는 자세는 서로 간의 믿음을 돈독히 하고 더 나은 사회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고사성어에 대해 같이 공부해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고사성어 소개해드릴게요. 그럼 다음에 만나요.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란유골 鷄卵有骨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1) | 2023.10.20 |
---|---|
경국지색 傾國之色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2) | 2023.10.20 |
결자해지 結者解之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1) | 2023.10.20 |
견토지쟁 犬兎之爭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0) | 2023.10.20 |
견원지간 犬猿之間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1)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