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개과천선 改過遷善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728x90

개과천선 改過遷善

 안녕하세요 투바투바입니다. 오늘의 고사성어는 ‘개과천선(改過遷善)’입니다.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뜻과 유래를 알아보고 용례를 통해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함께 생각해 봅시다.
 

오늘의 이야기

출전: 조거정(趙居貞)의 《신수춘신군묘기(新修春申君廟記)》

대개 서진 시기의 인물 주처의 일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해당 일화의 원 출처(《진서》 권58)에는 '개과천선'이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는다. 떠돌고 있는 그 일화의 육운이 한 말도 엉터리로 번역된 것. 실제로는 당나라의 정치가 조거정(趙居貞)의 《신수춘신군묘기(新修春申君廟記)》에서 보인다.

괄목상대와 유래가 비슷하나 사용용례는 완전히 다른 편. 개과천선은 "남의 말을 듣고 (잘못을) 고치는 것"이고, 괄목상대는 "자기 스스로 잘못을 고치거나 발전하는 것"을 뜻한다. 물론 전자도 행동은 본인 스스로 해야 하니 뜻만 보면 비슷하다고 볼 수도 있다.
 

고사성어 살펴보기

훈음
 改  過  遷  善
 고칠 개  지날 과  옮길 천  착할 선

겉뜻: 과거를 고치고 착하게 변하다
속뜻: 잘못 들어선 길을 버리고 착한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겠다는 결의를 실천하여 마침내 이룩함을 이르는 말.
 

용례 알아보기

1. 그는 자신의 과거 실수를 인정하고 개과천선하여 새로운 삶을 시작했습니다.
2. 개인적인 변화를 통해 사회에 도움을 주려는 봉사자들은 개과천선의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3. 학생들은 공부에 더 집중하고 지난 실수를 되새기며 개과천선하고자 학교에서 지도를 받고 있습니다.
4. 정부는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문제를 개과천선하고 나아가는 방향으로 정책을 변경하고 있습니다.
 

맺음말

여기까지 고사성어 '개과천선(改過遷善)'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개과천선이라 여기는 순간이 오지 않도록 스스로를 자주 돌아보는 자세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고사성어에 대해 같이 공부해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고사성어 소개해드릴게요. 그럼 다음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