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화만사성 家和萬事成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안녕하세요 투바투바입니다. 오늘의 고사성어는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입니다.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뜻과 유래를 알아보고 용례를 통해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함께 생각해 봅시다.
오늘의 이야기
출전: 《명심보감(明心寶鑑)》 <치가(治家)> |
자식이 효도하면 어버이가 즐겁고, 집안이 화목하면 많은 일들이 이루어진다.
때때로 불(화재)이 나는 것을 방비하고 밤마다 도둑이 드는 것을 막으면 된다.
화(和)는 벼(禾)와 입(口)을 합친 말이다. 벼는 밥이 되는 곡식이고, 입은 음식을 먹는 몸의 일부이니, 결국 '밥을 먹는다'는 뜻과 같다.
더 나아가 가화(家和)는 집안 식구 모두가 둘러 앉아 밥을 먹는 것이 되고, 가화만사성은 결국 '가족 모두가 함께 밥을 먹을 정도로 잘 어울린다면, 안 풀릴 일이 없다'는 뜻이 된다.
옛 선조들이 사람들 삶 속의 절실하고 진실한 문제가 어디서부터 시작되고 어떻게 풀리는지 잘 통찰한 교훈이라고 볼 수 있다.
고사성어 살펴보기
훈음 | ||||
家 | 和 | 萬 | 事 | 成 |
집 가 | 화할 화 | 일만 만 | 일 사 | 이룰 성 |
겉뜻: 집이 화목하면 만가지 일을 이룰 수 있다.
속뜻: 가정이 화목하면 모든 일들이 잘 풀린다.
용례 알아보기
가화만사성이라는 말은 우리에게 단순한 집안 화합뿐만 아니라 모든 일에 조화와 협력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알려줍니다.
집안에서 가화만사성 을 실천하면, 가족들 간의 화목과 협력이 각자의 일에 번영을 가져올 것입니다.
사업에서도 가화만사성 을 기반으로 한 팀워크와 조화는 조직의 번영을 이루는 열쇠입니다.
가화만사성 을 지키며 사회에 기여하면, 우리 나라가 번영과 발전의 길을 걷게 될 것입니다.
맺음말
여기까지 고사성어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고사성어를 과거의 사례라 여기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와 같이 예로부터 가정의 평안함을 강조하는 이야기들이 많은 것을 마음속에 항상 품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고사성어에 대해 같이 공부해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고사성어 소개해드릴게요. 그럼 다음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