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공불락 難攻不落 뜻 유래 용례, 이야기와 함께하는 고사성어
안녕하세요 투바투바입니다. 오늘의 고사성어는 ‘난공불락(難攻不落)’입니다.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뜻과 유래를 알아보고 용례를 통해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함께 생각해 봅시다.
오늘의 이야기
출전: 삼국지연의 |
후한서 황보숭전에 따르면 188년 왕국을 공격하기 위해 진창을 포위하면서 나온 말로 동탁이 황보숭에게 서둘러서 진창으로 가야 한다고 하자 황보숭은 태세를 갖춘 후에 적이 빈 틈을 기다려야 한다면서 진창은 작은 성이지만 함락될 정도의 세력이 아니며 진창은 여전히 난공불락이라며 병력을 번거롭게 하지 않고 아무 피해 없이 승리해 공을 세워야 한다며 급히 구원에 나설 필요가 없다고 했다.
삼국지연의에서 제갈량이 진창성을 함락하려고 여러 공격을 시도하다가 탄식하면서 한 말로 알려져 있다.
이렇듯 이 표현은 대상이 매우 강력하거나 방어가 튼튼해서 뚫고 들어가기 어렵다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좋은 방어 체계나 준비가 탄탄하며, 어떠한 도전에 대비해 있는 상태를 나타낼 때도 사용된다.
고사성어 살펴보기
훈음 | |||
難 | 攻 | 不 | 落 |
어려울 난 | 칠 공 | 아닐 불 | 떨어질 락(낙) |
겉뜻: 공격하기 어렵고 무너뜨리기 어려운 상대
속뜻: 그만큼 준비가 탄탄하고 대비가 잘 되어있는 상태를 뜻한다
용례 알아보기
- 그 국가의 군대는 난공불락의 강력한 방어 체계를 갖고 있어서 쉽게 침입할 수 없습니다.
- 그 기업이 경쟁사들에 대해 가지고있는 시장 지배력은 가히 난공불락이라 할 수 있다.
- 그 스포츠 팀은 상대 팀의 방어를 깨뜨리는 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들은 결국 그 난공불락을 뚫고 승리했습니다.
맺음말
여기까지 고사성어 '난공불락(難攻不落)'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어떤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는 것은, 비단 냉병기로 전쟁을 하던 과거사에만 머무르는 말이 아니라 시대를 관통해서 우리가 취해야 할 자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고사성어에 대해 같이 공부해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고사성어 소개해드릴게요. 그럼 다음에 만나요.